目的で探す
トップ > Arita's best spots > The Kyushu Ceramic Museum

The Kyushu Ceramic Museum

History of Arita Ware

Why Did Porcelain Develop in Arita?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Toyotomi Hideyoshi (1537-1598), the retired imperial regent (taiko) of Japan, launched two campaigns against Ming China by way of the Korean Peninsula. Many of his commanders brought Korean artisans back with them after the failed invasions, including the lords of Hizen Province (now Saga and Nagasaki Prefectures). Even before Toyotomi's campaigns began, the lord of Karatsu, a coastal town in Hizen, had brought Koreans to the area to make ceramics. They created a type of non-porous stoneware called Karatsu ware (karatsu-yaki), which known as the oldest glazed pottery in Kyushu. By the last decade of the sixteenth century, many Korean potters were producing Karatsu ware across Hizen, including in Arita.

Porcelain stone was discovered in the Arita area in the 1610s. The term "porcelain stone" is used to refer rocks that contain high levels of quartz, sericite, and kaolinite. The stone used to make the kind of clay needed to produce porcelain. Large quantities of wood were needed to fuel the kilns used to fire the porcelain. With the discovery of porcelain stone and a plentiful supply of timber in the mountains, Arita became the first place in Japan to produce porcelain and has been the center of Japanese porcelain production ever since.

Arita was located in Saga Domain, and the rulers of the domain recognized the potential benefits of being the sole producers of porcelain. They actively managed and protected the porcelain kilns in Arita throughout the Edo period (1603-1868). The first Arita porcelain were characterized by the blue-and-white (sometsuke) technique of painting cobalt-based underglaze onto unfired porcelain before applying a translucent glaze. The first domestically produced porcelain with multicolor overglaze (known as uwa-e or aka-e) appeared in the 1640s, when local artisans learned how to recreate Chinese overglaze techniques.

Most of Japan was closed to foreign trade during the Edo period, but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was allowed to operate a trading post in Nagasaki, also part of Hizen Province. In the early 1600s, the most popular porcelain in both Japan and the West was made in China and porcelain is still often referred to as "china" in some English-speaking countries. Chinese exports stopped, however, around 1644 due to conflict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1618-1683) and Dutch traders switched to buying Japanese porcelain. To meet the new demand, more kilns were built on the mountainsides of Arita. Porcelain produced by these kilns and those nearby was shipped around Japan through the port of Imari, and through this association the porcelain came to be called Imari ware (imari-yaki). Today, however, "Imari ware" refers to ceramics produced in Imari rather than merely trafficked there, while the porcelain made in Arita during the Edo period is often called Old Imari (ko-imari).

Discovery of Izumiyama Quarry

In the 1610s, ceramic production in Arita was centered on Korean and Japanese potters on the western side of town. The potters created porcelain based on Chinese blue-and-white designs. However, porcelain stone was hard to find, and their few porcelain pieces were fired together with many stoneware pieces.

In 1616, a Korean potter whose name is recorded as Kanagae Sanbei (d. 1655) moved to western Arita with a group of other potters. Sanbei is said to have discovered porcelain stone deposits at Izumiyama, on the eastern side of Arita, and have built new kilns nearby. The porcelain stone from the Izumiyama quarry could be mined in large quantities and was high in kaolinite which is necessary for making porcelain.

In 1637, Saga Domain concentrated Arita's porcelain production in the east, near Izumiyama. Kilns were built on the steep sides of the valley near the quarry, and the river was used to power wooden trip hammers that crushed the porcelain stone into powder. This powder was mixed with water to form the porcelain clay. The kilns near Izumiyama produced only porcelain. Izumiyama quarry was designated a National Historic Site in 1980.

Flourishing Exports

Arita's porcelain production grew rapidly in the second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as exports increased. Chinese porcelain had all but disappeared, and new designs were need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European market. This included shapes previously unknown to Arita's potters, such as coffee pots, wine decanters, beer mugs, saltcellars, and mustard pots. As European requests grew, new colors and styles were invented by the Arita craftsmen.

One of the most important types of Arita ware (arita-yaki) at the time was Kakiemon-style porcelain. Its distinctive overglaze colors and designs inspired European ceramics producers, including the Meissen porcelain kilns in Germany. In the first half of the eighteenth century, another style of Arita ware called kinrande found popularity among the Western upper class. Kinrande (literally, "gold brocade") was inspired by antique Chinese styles of porcelain that used overglaze gold to create extravagant, colorful designs.

By the 1680s, the Qing dynasty had taken control of all of China. With the onset of peace, Chinese exports resumed, creating sudden competition for Arita ware. In 1757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stopped official export of Arita ware. Approximately 100 years later, however, Japan reopened to foreign trade, and many merchants began selling Arita ware overseas again. Trade with the West led to an influx of new technologies that had been developed abroad. European craftsmen had invented plaster molds, discovered new pigments, and created new kinds of kilns in attempting to copy Eastern porcelain. Japanese artisans quickly adopted these advances into their work.

During the Meiji era (1868-1912), the Japanese government promoted the export of traditional goods, such as silk and porcelain, as a way to stimulate the national economy. The government helped promote Arita ware and other craft goods at several world's fairs, notably Vienna in 1873, Philadelphia in 1876, and Paris in 1878.

Arita Ware in Daily Life

Arita ware was originally mostly tableware. Typically, each part of a traditional Japanese meal--rice, soup, main, sides--is served in a separate dish. The shape and size of each dish is chosen to best compliment the food. Arita craftsmen tended to produce smaller pieces for the Japanese market, such as rice bowls, namasu-zara (for side dishes), and teshio-zara (for pickled vegetables or condiments).

By the second half of the eighteenth century, exports of Arita ware had slowed to a trickle and porcelain from Arita came to be sold almost exclusively inside Japan. As people's spending power increased during the long peace of the Edo period (1603-1868), Arita craftsmen created new designs and styles to meet the food and fashion trends of the growing middle class of merchants and artisans.

The pieces from the Mr. and Mrs. Shibata Collection in Exhibit Room 2 are arranged to illustrate each stage in the development of Arita ware, beginning with early pieces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and ending with items created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Examples of Edo-period place settings have also been reproduced from the collection.

Overview of the Kyushu Ceramic Museum

The Kyushu Ceramic Museum was opened in 1980 to preserve and promote the unique pottery culture of Kyushu and Okinawa. It has approximately 30,000 items in its collection, including two Japanese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and aims to be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facility representing Kyushu's ceramic culture. The museum collects, conserves, researches, and displays important artistic, industrial, and historical materials.

The museum has a wide range of historic and modern ceramic pieces. It hosts special exhibitions and regularly displays works by members of the Japan Art Academy, as well as by individuals certified as Preserver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iving National Treasures").

Exhibit Guide

The museum is divided into five exhibition rooms that together display approximately 1,500 pieces at any one time. For the best experience, visit the exhibit rooms in numerical order.
Exhibit Room 1: History of Arita Ware
Exhibit Room 2: Mr. and Mrs. Shibata Collection
Exhibit Room 3: Old Ceramics of Kyushu
Exhibit Room 4: Contemporary Ceramics of Kyushu
Exhibit Room 5: General Exhibition Room

Special pieces are placed throughout the museum grounds, including the Karakuri Musical Clock in the main hall, the Bells of Meissen outside the museum, and the cassowary statue and fountain made of Meissen porcelain in the courtyard.

Arita ware tiles and fixtures can also be seen on the walls, floors, and doors of the museum.

Exhibit Room 1: History of Arita Ware

The History of Arita Ware exhib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about porcelain produced in Hizen Province (now Saga and Nagasaki Prefectures), covering production techniques, domestic distribution, and foreign trade in Hizen over the past four centuries.

Among the various ceramics produced in Hizen, the exhibit focuses on the history of Arita ware: its development after the discovery of porcelain stone at Izumiyama, the flourishing of domestic trade and exports, and role of Arita ware in people's daily lives. Room 1 also contains the 101 items of the Kanbara Collection, featuring Arita ware that was exported to Europe.

Exhibit Room 2: Mr. and Mrs. Shibata Collection

The Mr. and Mrs. Shibata Collection includes approximately 10,000 pieces of Arita ware from the Edo period (1603-1868) that were donated to the museum in the 1990s and 2000s. Approximately 1,000 pieces of the collection are displayed in a yearly rotation. Selected works from each stage in the history of Arita ware illustrate the way fashions changed and production techniques evolved. The collection is a Registered 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apan.

Exhibit Room 3: Old Ceramics of Kyushu

The Old Ceramics exhibit features approximately 100 pieces from the Edo period (1603-1868) each year. The pieces are divided by geographic region based on the modern prefectures of Kyushu (Saga, Nagasaki, Fukuoka, Kumamoto, Oita, Miyazaki, and Kagoshima), and Okinawa. The exhibit features primarily Karatsu ware, Japan's first porcelains (now known as Early Imari or shoki imari in Japanese), as well as subsequent Arita ware styles including Kakiemon and kinrande. Ceramics produced at famous kilns in each prefecture illustrate Kyushu's rich regional ceramic diversity.

Exhibit Room 4: Contemporary Ceramics of Kyushu

The creative and innovative works displayed in the Contemporary Ceramics exhibit represent the historically diverse uses of ceramics in Kyushu. Representing a variety of pottery techniques from traditional to avant-garde, works by approximately 100 artists from around Kyushu are displayed in a yearly rotation. Most of the pieces are by artists who belong to prominent traditional craft and art associations, including Nitten and the Japan Kogei Association.

Kanbara Collection (Owned by Arita Town)

The Kanbara Collection was the private collection of Kanbara Hakaru (1896-1987), who donated it to the town of Arita in 1976. Kanbara was named an Honorary Citizen of Arita Town in 1980, the year that the Kyushu Ceramic Museum opened, and the Kanbara collection was transferred to the museum to be placed on permanent display.

All of the Kanbara Collection was bought in Europe. It includes many pieces that were made in Arita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for the European export market. The kinrande (literally, "gold brocade") style was one of the popular styles of Arita ware exported to Europe during the Edo period (1603-1868). Featuring cobalt blue underglaze with polychrome (red and gold) overglaze enamel designs, kinrande was intricate and extravagant. Since these pieces were intended for export, their shapes are markedly different from pieces made for the Japanese market. Western-style serving vessels in the collection include a wine decanter; lidded bowls and saucers; and a seasoning set marked with the letters A, O, and S (referring to the Dutch for vinegar, oil, and sauce, respectively). Once porcelain made in Arita reached Europe, it was often modified to meet the desires of the European buyers. For example, gold fittings were sometimes attached to vases turning them into things like candle stands, chandeliers, and lamps.

Mr. and Mrs. Shibata Collection

The Mr. and Mrs. Shibata Collection contains over 10,000 pieces of Arita ware. Beginning in 1990, the collection was donated to the museum by Shibata Akihiko (1940-2004) and his wife, Yuko, over the course of 14 years. Most of their collection's pieces were for the domestic market and are different in design and purpose from those in the Kanbara Collection. The exhibit is arranged chronologically, beginning in the 1610s, and the selection of piec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Edo period (1603-1868) illustrates the development of Arita ware over time.

Early examples of Arita ware are characterized by the grayish, off-white color of the base porcelain. As the quality and precis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improved, Arita artisans began to produce whiter and thinner porcelain. Beginning in the 1630s, designs started to reflect greater Chinese influence, including auspicious symbols such as hares, cranes, and herons, along with mythical creatures like dragons and phoenixes, and specific types of flowers.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design and techniques improved greatly, and the reputation of Arita ware grew.

In the collection's exhibit, Kakiemon-style and kinrande-style pieces are contrasted with earlier pieces to indicate how Arita ware developed. The exhibit also examines the use of Arita ware during the Edo period with pieces from the collection arranged as they might have been used in various place settings. Approximately 1,000 of the 10,311 total pieces are displayed each year on a rotating basis. The collection is a Registered Tangible Cultural Property.

Karakuri Musical Clock

This special clock in the main hall of the museum was creat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13 major kilns in Arita. Various parts of the clock are decorated with pieces of Arita ware painted with traditional Arita-ware patterns and in the clock are Arita-ware figurines of children wearing seasonal outfits. Every 30 minutes, on the hour and half-hour, the face of the clock opens to reveal a brief mechanical display. The 2-minute song that accompanies the display changes with the seasons, as do the figurines. The children's figurines that correspond to the other three seasons are displayed next to the clockface.

https://saga-museum.jp/ceramic_en/

아리타 도자기의 역사

왜 아리타에서 자기가 발전했을까요

16세기 말, 다이코(太閤, 은퇴한 관백) 도요토미 히데요시(1537~1598)는 두 차례에 걸쳐 한반도를 경유하여 중국 명나라 정복에 나섰습니다(임진왜란, 정유재란). 이것이 실패로 끝나 철수할 때 히젠 지방(현재의 사가현과 나가사키현)의 다이묘(영주)들과 무장들은 한반도의 장인들을 데리고 돌아왔습니다. 침략이 시작되기 전부터 히젠의 연안 마을인 가라쓰 지역의 다이묘는 조선인들에게 도자기를 만들어 달라고 하여 가라쓰 도자기라는 무공질 석기(stoneware, 도기와 자기의 중간적 성질을 지닌 도자기)의 일종을 만들어냈습니다. 가라쓰 도자기는 규슈에서 가장 오래된 시유도기(유약을 바른 도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16세기의 마지막 10년 동안 많은 조선인 도공들은 아리타 지역을 포함한 히젠국 일대에서 가라쓰 도자기를 생산했습니다.

1610년대에 아리타 지역에서 도석이 발견되었습니다. '도석'은 석영, 견운모가 다량 함유된 암석을 말합니다. 자기 제작에 필요한 종류의 점토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돌입니다. 또한, 자기를 굽는 데는 많은 양의 나무도 필요합니다. 도석이 발견되고 산에서 목재도 풍부하게 공급되었던 아리타 지역은 일본 최초로 자기를 생산하게 되었으며, 그 이후로 일본 자기 생산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아리타 지역은 사가번에 있었으며, 사가번의 다이묘는 자기 생산에 잠재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에도 시대(1603~1868)에는 자기 가마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했습니다. 초기 아리타 도자기는 소성 전 표면에 코발트 계열 물감으로 그림을 그려 넣은 후 투명 유약을 바르는 청과 백의 청화백자(일본에서는 소메쓰케(染付)라고 함) 기술이 특징입니다. 1640년대에는 현지 도공들이 중국의 상회 기술(도자기 표면에 무늬를 그린 후 다시 굽는 기술)을 배워 일본에서 처음으로 유상채(일본에서는 우와에(overglaze enamel painting, 상회) 또는 아카에라고 불리는 붉은 그림의 이로에 자기(색회 자기, 자기 표면에 물감으로 무늬를 표현한 것)가 등장했습니다.

에도 시대에는 일본 대부분의 지역에서 해외와의 교역이 금지되어 있었지만,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같은 히젠국의 일부였던 나가사키에서 무역소를 운영할 수 있었습니다. 17세기 초, 일본과 서양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자기는 중국산 자기이며, 일부 영어권 국가에서는 현재도 자기를 '차이나(china)'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넘어갈 때 발생한 내란(1618~1683)으로 인해 1644년경에는 중국의 수출이 중단되어 네덜란드 무역업자들은 일본산 자기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아리타 지역의 산간부에는 가마가 더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가마와 인근 가마에서 생산된 자기는 이마리 항구에서 일본 전역으로 운반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이 자기는 이마리 도자기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다만 현재는 단순히 이마리 지역에서 운반된 것이 아니라 이마리 지역에서 만들어진 자기가 이마리 도자기라고 불리며, 에도 시대에 아리타 지역에서 만들어진 자기는 고이마리(古伊万里)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즈미야마 자석장의 발견

1610년대, 아리타 지역의 자기 생산은 마을 서부에 있던 조선인과 일본인 도공들이 중심을 이루었으며, 중국식 청화 무늬를 주체로 자기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도석을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수가 적은 자기는 많은 도기와 함께 같은 가마에서 구워졌습니다.

1616년, 가나가에 산베에(통칭:이삼평)(~1655년)라는 이름의 조선인 도공이 다른 도공들과 함께 아리타 서부로 이주해 왔습니다. 가나가에 산베에(통칭:이삼평)는 아리타 동부에 있는 이즈미야마에서 도석 매장지를 발견하고 인근에 새로운 가마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즈미야마 자석장에서 채굴되는 도석은 대량으로 채굴할 수 있었으며, 자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석영, 견운모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습니다.

1637년, 사가번은 아리타 지역의 자기 생산을 이즈미야마와 가까운 마을 동부에 집중시켰습니다. 가마는 자석장 근처 계곡의 비탈진 곳에 만들어졌으며, 강물을 사용해 목제 트립 해머를 움직여 도석을 부숴 가루로 만들었습니다. 이 부순 가루를 물과 섞어 자토를 만들었습니다. 이즈미야마 근처에 있는 가마에서는 자기만 생산되었습니다. 자석장은 1980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활발하게 이루어진 수출

17세기 후반, 수출이 늘어나면서 아리타 지역의 자기 생산도 급증했습니다. 이 무렵 중국 자기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고, 유럽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새로운 상품이 필요하다고 여겨졌습니다. 그중에는 커피포트와 와인 디캔터, 맥주잔, 소금통, 겨자통 등 그때까지 아리타 지역의 도공들이 몰랐던 모양의 물건들도 있었습니다. 유럽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아리타 지역의 장인들은 새로운 색상과 양식을 만들어냈습니다.

당시 아리타 도자기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양식 중 하나였던 것이 가키에몬 양식(유백색의 도자기 소지 위에 여백을 충분히 남긴 섬세하며 회화적인 구도가 특징)입니다. 우와에의 색상과 디자인이 특징이며, 독일의 마이센 자기 공방 등 유럽의 도자기 생산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18세기 전반에는 긴란데라고 불리는 또 다른 양식도 유럽 상류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긴란데 양식은 금채를 사용하여 호화롭고 색채가 풍부한 디자인을 만들어낸 중국 고대 양식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1680년대에는 청나라가 중국 전역을 지배하면서 평화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수출이 재개되었기 때문에 아리타 도자기는 갑자기 경쟁에 노출되게 되었습니다. 1757년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아리타 도자기 수출을 정식으로 중단했습니다. 그로부터 약 100년 후, 일본이 대외 무역을 재개하자 많은 무역상들은 아리타 도자기를 해외에서 다시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서양과의 무역을 통해 해외에서 이미 발달한 새로운 기술도 유입되었습니다. 유럽의 장인들은 동양의 자기를 모방하려는 과정에서 석고틀을 설계하고 새로운 안료를 발견했으며 새로운 종류의 가마를 만들어 왔던 것입니다. 일본의 장인들도 이러한 선진 기술을 자신들의 작품에 빠르게 도입했습니다.

메이지 시대(1868~1912)에 일본 정부는 국가 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서 비단과 자기 등의 전통 제품의 수출을 촉진했습니다. 특히 1873년 빈, 1876년 필라델피아, 1878년 파리 등 여러 만국 박람회에서 아리타 도자기 등의 공예품 수출 진흥을 후원했습니다.

일상생활 속의 아리타 도자기

아리타 도자기는 원래 옛날 그대로의 일식용 식기류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밥, 국, 주요리, 반찬 등 일본의 전통적인 각 요리는 별도의 접시(공기)에 담아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담을 요리에 가장 어울리는 모양과 크기의 접시가 선택됩니다. 아리타 지역의 장인들은 일본 국내 시장용으로 밥공기, 나마스자라(반찬용 접시), 데시오자라(채소 절임과 양념용 접시) 등의 작은 접시를 주로 생산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아리타 도자기의 수출은 줄어들었고, 아리타 지역의 자기는 대부분 일본 국내에서만 판매되게 되었습니다. 에도 시대(1603~1868)의 오랜 평화 기간에 사람들의 경제력이 높아졌기 때문에 아리타 지역의 장인들은 상인과 장인 같은 확대된 중산층의 음식과 의복의 유행을 따라가기 위해 새로운 디자인과 양식을 만들어냈습니다.

제2전시실에 있는 시바타 부부 컬렉션에서는 17세기 초기 작품부터 19세기에 만들어진 작품에 이르기까지 아리타 도자기가 그동안 거쳐온 변천사를 알 수 있도록 작품이 진열되어 있습니다. 또한, 컬렉션에서는 에도 시대 밥상의 모습도 재현되어 있습니다.

규슈 도자 문화관의 개요

규슈 도자 문화관은 규슈와 오키나와의 독자적인 도자기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목적으로 1980년에 개관했습니다. 국가 중요문화재 2점을 포함하여 약 30,000점의 소장품이 있으며, 규슈의 도자 문화에 관해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시설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예술적, 산업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의 수장, 보존, 연구,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관내에는 오래된 작품부터 새로운 작품까지 다양한 도자기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기획전 외에 상설전에서는 일본 예술원 회원과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인간국보)로 인정받은 분의 작품을 볼 수 있습니다.

전시 안내

이 박물관은 5개의 전시실로 나누어져 있으며, 아울러 1,500점 정도가 상시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번호순으로 관람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제1전시실: 아리타 도자기의 역사
제2전시실: 시바타 부부 컬렉션
제3전시실: 규슈의 고도자기
제4전시실: 현대의 규슈 도예
제5전시실: 일반 전시실

전시홀에 있는 아리타 도자기 가라쿠리 오르골 시계, 실외에 있는 마이센 종이라고 불리는 25개의 자기종, 안뜰에 있는 마이센 자기로 만들어진 백자관화식조분수 등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작품이 부지 내 곳곳에 있습니다.

또한, 관내의 벽과 바닥, 문에도 아리타 도자기로 만들어진 타일과 집기가 사용되었습니다.

제1전시실: 아리타 도자기의 역사

'아리타 도자기의 역사'에서는 히젠국(현재의 사가현과 나가사키현)에서 생산된 자기의 기본적인 정보와 함께 지난 4세기에 걸친 히젠의 생산 기술, 일본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통, 해외와의 교역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히젠에서 생산된 도자기 중에서도 아리타 도자기의 역사를 중심으로, 이즈미야마에서 아리타 도자기의 도석이 발견된 이후의 발전, 아리타 도자기의 일본 국내외 교역,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의 역할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제1전시실에서는 간바라 컬렉션 101점도 전시되어 있으며, 유럽에 수출된 아리타 도자기에 대해서도 크게 다루고 있습니다.

제2전시실: 시바타 부부 컬렉션

'시바타 부부 컬렉션'은 에도 시대(1603~1868)의 아리타 도자기 약 10,000점을 모은 것으로, 199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기증되었습니다. 컬렉션 중에서 약 1,000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1년에 1차례 교체되고 있습니다. 아리타 도자기의 역사 속에서 각 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이 선정되며, 유행의 변천과 생산 기술의 발전을 알기 쉽게 보여 주고 있습니다. 또한, 컬렉션은 국가등록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제3전시실: 규슈의 고도자기

'규슈의 고도자기'에서는 매년 에도 시대(1603~1868) 작품 약 100점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작품은 현재의 현(県)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규슈(사가, 나가사키, 후쿠오카, 구마모토, 오이타, 미야자키, 가고시마)와 오키나와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가라쓰 도자기, 일본 최초의 자기(현재는 초기 이마리라고 불림) 외에도 그 후 발전하여 탄생한 가키에몬(유백색의 도자기 소지 위에 여백을 충분히 남긴 섬세하며 회화적인 구도가 특징)과 긴란데(자기 문양에 금색을 다용한 기법)의 아리타 도자기가 주로 전시되고 있습니다. 각 현의 유명한 가마에서 만들어진 도자기는 규슈 각지 도자기의 다양성을 말해 줍니다.

제4전시실: 현대의 규슈 도예

'현대의 규슈 도예'에 전시되어 있는 독창성 있는 혁신적인 작품은 규슈에서 도자기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음을 보여 줍니다. 전통적인 것부터 전위적인 것까지 다양한 도예 기술을 구사한 규슈 각지의 작가 약 100명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1년에 1차례 교체되고 있습니다. 작품 대부분이 일본 미술 전람회와 일본 공예회 등 전통공예 관련 주요 조직에 소속되어 있는 작가의 작품입니다.

간바라 컬렉션(아리타초 소장)

간바라 컬렉션은 간바라 하카루 씨(1896~1987)의 개인 컬렉션으로 1976년 아리타초에 기증되었습니다. 간바라 씨는 1980년에 아리타초의 명예 주민이 되었으며, 같은 해 규슈 도자 문화관이 개관되었을 때 컬렉션은 문화관으로 옮겨져 상설 전시되게 되었습니다.

간바라 컬렉션의 모든 작품은 유럽에서 판매되었던 것입니다. 그중에는 유럽 수출 시장을 위해 17~18세기에 아리타 지역에서 생산된 자기가 많이 있습니다. 에도 시대(1603~1868)에는 다양한 양식의 아리타 도자기가 유럽으로 수출되었으며, 특히 인기 있었던 것이 긴란데 양식(자기 문양에 금색을 다용한 기법)입니다. 청화의 남색에 우와에쓰케(overglaze decoration, 상회칠)의 붉은색과 금색이 어우러진 긴란데는 정밀하고 공이 많이 들어간 화려한 작품입니다. 수출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본 국내 시장용으로 만들어진 도자기와는 모양이 현저하게 다릅니다. 양식용으로 만들어진 그릇으로는 와인 디캔터, 뚜껑이 달린 공기와 받침 접시, 그리고 A, O, S의 첫 글자(네덜란드어로 각각 식초, 기름, 소스를 뜻함)가 들어간 조미료통 세트 등이 있습니다. 아리타 지역에서 만들어진 자기가 유럽으로 전달된 후 유럽 구매자들의 요구에 맞춰 개량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항아리에 금속 장식을 붙여 촛대나 샹들리에, 램프로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시바타 부부 컬렉션

시바타 부부 컬렉션은 10,000점 이상의 아리타 도자기를 모은 것입니다. 1990년부터 14년간에 걸쳐 시바타 아키히코(1940~2004)와 시바타 유코 부부가 당관에 기증했습니다. 작품 대부분이 일본 국내 시장용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간바라 컬렉션과는 디자인이나 용도가 다릅니다. 전시는 1610년대부터 연대순으로 진열되어 있으며, 에도 시대(1603~1868)의 다양한 시기의 작품들이 아리타 도자기의 시대를 초월한 변화를 말해 줍니다.

초기 아리타 도자기는 회색빛이 도는 흰색의 소지(유약을 바르기 전의 도자기)가 특징이었습니다. 생산 공정의 질과 정확도가 향상됨에 따라 아리타 지역의 장인들은 더 희고 얇은 자기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1630년대부터 디자인은 점차 중국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여 백로와 학, 산토끼 같은 상서로운 동물과 용과 봉황 같은 신화 속 생물, 특정 종류의 꽃 등이 그려지게 되었습니다. 17세기 후반에 들어서며 디자인과 기술이 크게 개량되었고 아리타 도자기의 평판은 높아졌습니다.

컬렉션 전시에서는 가키에몬 양식(유백색의 도자기 소지 위에 여백을 충분히 남긴 섬세하며 회화적인 구도가 특징)과 긴란데 양식(자기 문양에 금색을 다용한 기법)의 작품들이 초기 작품들과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아리타 도자기의 발전 과정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전시에서는 에도 시대에 아리타 도자기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도 소개하고 있으며, 컬렉션에서 선정된 자기들을 당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밥상의 형태로 전시하고 있습니다. 총 10,311점 중에서 약 1,000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1년에 1차례 교체되고 있습니다. 이 컬렉션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고 학술적으로도 매우 귀중한 자료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공예 부문의 등록 유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아리타 도자기 가라쿠리 오르골 시계

문화관 전시홀에 있는 이 특별한 시계는 아리타 지역에 있는 13곳의 주요 도자기 공방들이 공동으로 제작한 시계입니다. 시계의 각 부분은 아리타 도자기의 전통 무늬가 그려진 아리타 도자기로 만든 부품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30분 간격으로 매시 정각과 매 30분에 문자판이 열려 간단한 쇼를 보여 줍니다. 기계식 디스플레이와 함께 흘러나오는 2분짜리 노래도 인형과 마찬가지로 계절마다 달라집니다. 시계의 문자판 옆에는 다른 계절의 어린아이 인형도 장식되어 있습니다.

https://saga-museum.jp/ceramic_en/

MENU